
내가 보려고 쓰는 docker 사용법 정리! docker 이미지 저장 하기 도커 컨테이너 확인 docker ps -a - 도커 로그인 docker login --username=yourhubusername --email=youremail@company.com - dockerhub 에서 이미지를 저장할 레파지토리 생성 -portianer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미지 생성 -이미지 생성 확인 docker images -이미지에 태그 달기 docker tag imageID yourhubusername/imagename:tag - 이미지 Push docker push yourhubusername/imagename
2018년 택스 보고에서 트럼프 정권이 F1 이나 J1 같은 Non-residence 신분의 노동자들의 인적공제를 삭감해버리는 바람에원래는 CPA 로 택스 보고를 맘 편하게 하려 했으나 CPA 수수료가 택스 환급금액보다 커지는 불상사가 발생했다.고로 이참에 셀프로 택스 보고를 하기로 마음 먹었고 이를 나와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공유 한다. 나는 W-2 를 기준으로 택스 보고를 했기 때문에 F-1 같은 학생들은 이 포스트가 도움이 많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.또한 부양자가 있어서 신고를 같이 해야할 경우 EZ 양식이 아닌 1040NR을 작성해야 한다.나는 부양자가 없는 미혼의 Non-residence 여서 1040NR-EZ로 작성했다. 일단 본인이 W-2를 소지하고 있다면, 아래 기준으..
Ajax는 비동기 호출로 사용할 경우 테스트하기가 불편하다. print 한 값들이 console에 보이지 않음. chrome developer tool 에서는 ajax 호출 코드도 쉽게 테스트 할 수 있다. 테스트가 필요한 화면을 호출 한뒤 F12를 눌러 개발자 도구를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. 네트워크 탭으로 간 뒤 Clear 버튼을 누른다. ( 빨간 박스로 체크 되어 있는 부분 ) 모든 항목이 삭제되었다. Ajax 코드를 호출 시켜본다. ajax에서 호출한 부분의 retrun 값만 보여진다.코드에 디버깅을 위해 print 문을 삽입했다면 print 문도 보여진다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datepicker
- chromedevelopertool
- docker save
- ajax문법
- ajax크롬
- JQuery
- 크롬디버깅
- Docker
- AJAX
- Portainer
- docker image 저장
- 1040nr-ez
- ajax디버깅
- 1040nr
- docker 저장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